오마이스타

본문듣기

우울과 불안에 전염된 사람들, 이렇게 죽어갔다

[리뷰] 영화 <스마일>

22.10.09 10:41최종업데이트22.10.09 10:41
원고료로 응원

영화 <스마일> 포스터 ⓒ 롯데엔터테인먼트


우리가 느끼는 감정은 전염성이 있다. 기분이 좋을 때, 기분이 나쁠 때 그리고 우울할 때 느끼는 감정들은 나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에게까지 전달된다. 내가 가진 감정을 말로 표현할 때도 있지만 표정과 몸짓에서 드러나는 그 감정은 은은하게 주변에 스며든다. 아주 가까운 사람에게도 그 감정이 전달되지만 잘 모르는, 처음 보는 사람에게도 그 감정은 충분히 전달될 수 있다. 일상에서는 그것을 느끼기가 조금 어렵겠지만 공통의 관심사를 가지고 방문하는 스포츠 경기장이나 공연장은 감정이 퍼지는 것을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곳이다. 그런 장소에서 느껴지는 일종의 동질감은 굉장히 빠르게 전체 공간으로 퍼져나간다. 그렇게 희로애락은 강하게, 때론 조금 은은하게 사람들 사이를 오가며 영향을 주고 있다. 

여러 감정 중 우울과 절망은 꽤 전파력이 있다. 누구나 자신의 내면에 어두운 기억이나 감정을 가지고 있다. 평소에는 그것이 잘 나오지 않지만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나 주변의 도움이 필요할 때 그런 안 좋은 기억과 감정이 튀어나올 때가 있다. 그럴 때는 아무리 이성적이고 밝은 사람이라고 할지라도 잠시 우울한 감정을 느낄 수밖에 없다. 그렇게 나온 우울한 감정은 주변 사람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주고 그것을 보는 상대방에게도 우울의 감정이 옮겨갈 수 있다. 좋게 보면 같은 감정을 주고받는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자칫 잘못하다간 모두가 우울의 구덩이에 빠져 괴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그리고 그 우울과 절망은 자신이 오염시킬 누군가를 찾는다. 

우울과 불안이 전염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영화 <스마일>

영화 <스마일>은 우울과 불안이 전염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공포영화다. 영화의 주인공인 로즈(소시 베이컨)는 정신과 전문의라는 직업을 가지고 있다. 그가 병원에서 환자들을 다루는 모습과 간호사들과 소통하는 모습은 무척 이성적으로 보인다. 영화 초반에 그가 등장하는 모습들에서 우울함과 불안이라는 감정을 볼 수 없다. 아마도 로즈는 우리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사람보다 좀 더 이성적으로 느껴지는 사람일 것이다. 그는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감정을 이해하면서 적절하게 통제할 줄 아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런 그의 앞에 환각과 심각한 불안 증세를 보이는 여자 대학생이 나타난다. 로즈는 그 응급환자에게 똑같이 이성적으로 접근하지만 그 환자는 어느 순간 소름 끼치는 미소를 지으며 로즈의 앞에서 자신의 목을 그어 자살한다. 
 

영화 <스마일> 장면 ⓒ 롯데엔터테인먼트


로즈는 그 환자의 우울과 불안을 고스란히 경험했고 그 우울과 불안이 가져오는 최악의 결과를 눈앞에서 목격했다. 그 자신은 인지하지 못했지만 그것을 경험하면서 전달된 우울과 불안은 이성적이었던 로즈의 마음을 조금씩 들쑤신다. 영화는 로즈가 조금씩 우울과 불안에 잠식되어가는 과정을 차근차근 보여주고 있다. 처음에는 별일 없는 듯 넘어가고 주변과 교류도 하지만 이상한 환영을 보고 놀라면서 조금씩 평상심을 잃는다. 영화가 보여주는 이런 일련의 과정은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우울증 환자들의 초기 모습처럼 느껴진다. 본인도 그 증상에 대해 심각하게 느끼지 않고 주변 사람들도 크게 신경 쓰지 않지만 어느 순간 예민해져 있는 자신을 발견하거나 주변 사람들이 무언가 정상적이지 않은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그때가 그 증상이 심각해질지 아니면 다시 원래의 감정으로 돌아올지를 결정하는 것 같다. 

이 영화는 공포영화의 문법을 사용하는 이야기인 만큼 사람들이 죽는 법칙을 만들어두고 있다. 우울과 불안을 느끼는 사람이 자살하는 것을 목격하는 사람은 그 저주가 전염된다. 영화에서는 그것을 일종의 저주로 이야기하고 있지만 실제로도 누군가의 자살을 목격하는 것은 또 다른 우울과 불안을 야기한다. 그건 실제로 저주라고 할 수는 없지만 목격한 사람에게는 트라우마로 오랜 시간 남고 정신적으로 꽤 힘든 시간을 만들어낸다. 그래서 영화 <스마일>을 다 보고 나면 주인공이 겪는 심리적인 변화가 일종의 저주뿐만 아니라 그동안 그가 가지고 있던 내면의 우울과 불안이 폭발하는 것을 보여주는 영화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그만큼 그가 우울과 불안에 잠식되는 과정이 무척 실감 나게 담겼다. 

그렇게 점점 우울해지는 주인공 로즈의 주변에 있던 가족들과 가까운 사람들은 하나둘씩 멀어져 가고 등을 돌린다. 그리고 로즈는 시간이 갈수록 혼자 모든 것을 해결하려고 한다. 그럴수록 절망은 커지고 상황은 안 좋아진다. 한 사람 정도 도움을 주는 사람이 생기지만 로즈가 외치는 도움의 외침은 외부로 강력하게 분출되지 못한다. 그래서 영화를 보는 내내 갑갑하고 불안해진다. 영화 속 인물의 불안한 감정이 관객들에게도 잘 전달된다는 이야기다. 
 

영화 <스마일> 장면 ⓒ 롯데엔터테인먼트

 
정통 공포영화보다는 심리 호러에 가까운 이야기

이 영화를 연출한 파커 핀 감독은 <잠들지 못하는 로라>라는 단편영화를 연출한 적이 있다. 2020년 부천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에서 상영된 이 단편 작품에서도 감독은 불안과 공포를 무척 효과적으로 시각화해서 보여준 적이 있다. 이 영화에서도 계속 악몽을 꾸는 주인공이 불안과 공포에 잠식되어가는 과정을 무척 실감 나게 묘사했으며 그것이 관객들에게도 그대로 전달되었다. 영화 <스마일>은 파커 핀 감독이 가장 잘할 수 있는 불안의 잠식 과정을 그대로 장편 영화에 녹여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공포 영화답게 영화에는 깜짝 놀라게 하는 장면이나 기괴한 장면들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몇몇 깜짝 놀라게 하는 장면을 제외하면 그렇게 공포스러운 장면이 많이 포함되어 있지는 않다. 그래서 조금 하드 한 공포영화를 기대한 관객들에게는 조금 심심하게 느껴질 수 있다. 그래도 심리적인 공포를 좋아하는 관객들에게는 이 영화가 꽤 무섭게 느껴질 것 같다. 가장 이성적으로 보였던 주인공이 우울과 불안에 잠식되어 회색빛으로 변해가는 듯한 묘사는 충분히 공포스럽다. 

누군가가 죽는 모습을 보면 저주가 옮겨간다는 측면에서 영화 <링>을 떠올리게 한다. <링>은 녹화된 영상을 보면 일주일 안에 죽는다는 설정을 가지고 있는데, <스마일>도 저주에 걸린 사람이 죽는 모습을 목격하면 일주일 안에 죽는다는 설정을 가지고 있다. 그러니까 이 영화는 <링>의 또 다른 버전이라고 볼 수 있겠다. 저주의 원인까지 파악은 못하지만 그 저주의 법칙을 알아내고 피하려고 애쓰는 모습에서 자연스럽게 <링>을 떠올릴 수밖에 없다. 일종의 오마주 영화처럼 보이기도 한다. 

영화에는 제목인 <스마일>처럼 웃는 장면이 그렇게 많이 등장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그 반대의 모습인 우울과 불안은 영화 내내 등장해 관객에게 공포를 선사한다. 기괴한 웃음도 소름 끼치지만 점점 고립되는 주인공의 모습과 내면의 불안과 사투를 벌이는 모습이 더 큰 공포를 전달한다. 정통적인 공포영화의 시각에서 보면 다소 아쉬운 점이 있지만 사람들의 심리적인 변화 과정을 공포스럽게 담았다는 측면에서는 꽤 훌륭한 공포영화로 만들어졌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김동근 시민기자의 브런치, 개인 블로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게재를 허용합니다.
스마일 공포영화 불안 전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여러 영화와 시리즈가 담고 있는 감정과 생각을 전달합니다. 브런치 스토리와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에서 영화에 대한 생각을 전달하고 있어요. 제가 쓰는 영화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저의 레빗구미 영화이야기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에서 더 많은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같이 영화가 전달하는 감정과 생각을 나눠봐요.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