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모든 시민은 기자다
치열한 삶의 현장에서 세상과 소통하는 사람들
평범한 일상에서 따뜻한 이야기를 찾아 전하고,
불합리한 사회에 용기 있는 목소리를 내는 시민기자들의 이야기“모든 시민은 기자다!”라는 모토로 2000년에 창간된 오마이뉴스는 일반 시민들도 가입만 하면 기사를 쓸 수 있는 언론 매체다. 창간 후 13년이 지난 지금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는 총 7만 명이 넘었고 이들이 쓴 기사는 54만 개에 달한다. 그동안 시민기자들은 어떤 활동을 했고, 무엇을 이루었을까? 오랜 시간 눈에 띄게 활약한 열두 명의 시민기자들이 생생한 경험담과 자신만의 글쓰기 비법을 공개한다.
전업주부, 농부, 교사, 공무원, 연구자, 목사, 교수, 회사원…… 이 책에 참여한 시민기자들은 모두 각자 삶의 터전이 있다. 이들은 본업에 충실하면서도 글쓰기를 통해 자신의 삶과 세상을 바꾸는 일을 이어간다. 육아, 자녀 교육 등 일상의 고민거리나 농촌에서의 소박한 삶을 ‘사는 이야기’ 기사로 풀어내고, 색다른 관점의 정치·사회 비평 칼럼으로 한국 사회를 날카롭게 진단한다. 법원 공무원, 역사 연구자라는 전문성을 살려 법과 역사에 대해 대중에게 친절히 알려주고, 목사라는 본업과 상관없이 환경에 대해 치열하게 공부하여 4대강 사업의 문제점을 끈질기게 파헤친다. 흥미로운 인물과의 인터뷰, 여행지에서의 떨림, 대중문화 속에 숨겨진 코드를 기사로 전하며 독자들에게 풍성한 읽을거리를 선물한다.
열두 명의 시민기자들은 주위의 작은 것도 남과 다른 시선으로 살펴보고, 불합리한 일을 목격했을 때 누구보다 분노하여 기사를 쓴다. 이들은 살기 어려운 한국 사회를 바꾸고 싶다면, 사소한 작은 이야기를 글로 전하는 것부터 시작하라고 이 책을 통해 말한다.
시민기자는 OOO이다?!김혜원 · 시민기자는 이웃의 이야기를 소박한 언어로 전하는
‘이장님의 확성기’다.
송성영 ·
‘의병’이다. 힘없고 소외된 약자들의 편에 서서 진실을 알린다.
이희동 · 언론이 지향해야 할
‘오래된 미래’다. 어떤 압력에도 흔들리지 않고 옳은 것을 말한다.
강인규 · 삶에서 발견한 문제를 진솔한 언어로 자유롭게 전달하는
‘프리랜서’다.
전대원 ·
‘아마추어 정신’ 그 자체다. 오직 글쓰기의 재미와 사회에 대한 감시와 비판을 추구한다.
이종필 · 그냥
‘시민기자’다. 시민기자 없는 오마이뉴스는 상상할 수 없으므로.
김용국 ·
‘다듬어지지 않은 보석’이다. 시간과 열정을 투자한다면 누구나 좋은 기자가 될 수 있다.
김종성 · 누구의 눈치도 살피지 않고 소신껏 글을 쓰는
‘자유로운 언론 게릴라’다.
최병성 ·
‘다윗’이다. 세상의 불의에 맞서 글로 대항한다.
신정임 ·
‘밥’이다. 사람이 먹고사는 일을 가장 잘 전한다.
윤찬영 · 영화 <광해>의
‘하선’이다. 때로는 ‘진짜’ 기자도 못하는 일들을 해낸다.
양형석 · 세상과 독자를 연결해주는
‘타이어’다.
목차
머리말 잉걸 기사의 숲에서 희망을 쓴다 _ 오연호
· 세상과 소통하는 삶의 가치 _ 사는이야기
아줌마 솜씨로 튀기고 볶아서 들려주는 세상 이야기 _ 김혜원
아줌마라서 더 잘할 수 있는 이야기 |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깨달음 | 잊을 수 없는 이름, 아멜리아 | 나를 들뜨게 하는 현장 | 나 같은 늙은이 찾아와줘서 고마워 | 아프리카 대륙으로 향하다
소박한 ‘사는 이야기’로 우려내는 삶의 깊은 맛 _ 송성영
‘사는 이야기’는 네버 엔딩 스토리 | 엄격한 검열은 필수 | 뉴스는 멀리 있지 않다 | 재미와 의미를 고루 갖춘 글 | 고통스런 생활을 감추지 않기 | 소박한 삶이 사람을 살린다
사회를 바꿀 단서들을 찾아 일상 파헤치기 _ 이희동
세상과 소통하는 나만의 방식 | 결혼과 출산이 가져온 글쓰기의 위기 | 일상이 가장 정치적이다 | 기사로 세상을 바꾼 경험들 | 절망의 시대, 할 일이 많다
· 시민의 눈으로 분석하는 한국 사회 _ 정치·사회 비평
여행자의 시선으로 낯설게 들여다보기 _ 강인규
당연한 상식을 문제 삼기 | 시민기자는 ‘아마추어’라는 오해 | 어려운 글은 게으른 글이다 | 웃음을 이용하여 끝까지 읽게 하기 | 사실과 의견 구분은 기본 | 진정성으로 울림을 더하다
독창적인 정치 기사를 위한 방법론 _ 전대원
직업기자의 한계를 넘어서는 시민기자 | 인터넷을 열심히 누빌 것 | 주장 기사의 핵심은 논거 찾기 | 정치를 분석하는 세 가지 방법 | 생각의 힘을 어떻게 키울 것인가
취미 삼아 시사 평론하는 아인슈타인의 후예 _ 이종필
학생운동이 일깨운 글쓰기 욕구 | 지금 안 하면 나중에도 못 한다 | 송고 버튼 앞에서 멈칫한 손 | 그들은 ‘제2의 노무현 탄생’이 싫었다 | 고된 감정노동은 계속될 것이다
· 모든 시민은 전문기자 _ 법률 / 역사 / 환경
‘시민을 위한 법’을 위해 선택한 이중생활 _ 김용국
다시 타오른 꿈 | ‘촛불재판 파동’과 ‘아는 만큼 보이는 법’ | 글은 엉덩이로 쓴다 | 그래서 얼마를 벌었을까? | 글을 쓰면서 세운 원칙 | 글 쓸 때 잊지 말아야 할 것들
대중과 친해지고 싶은 역사 전문가의 글쓰기 _ 김종성
‘나 홀로 글쓰기’의 틀을 깨다 | 동북공정이 불러온 열정적 글쓰기 | ‘사극으로 역사읽기’를 시작하다 | 친절한 역사 이야기를 위한 고민 | 대중을 위한 글을 쓸 때 조심할 점
열정 하나로 ‘4대강 전문기자’가 된 목사 _ 최병성
오마이뉴스에서 만난 수많은 독자들 | 언론 권력은 소수만의 것이 아니다 | 집중과 몰입으로 독자의 마음을 파고들다 | 사진, 자료, 상상력과 창의력 | 작은 불씨에서 시작되는 또 다른 세상
· 다른 삶을 상상하는 감각적 글쓰기 _ 인터뷰 / 여행 에세이 / 스포츠·대중문화 칼럼
오감으로 기록하는 가슴 뛰는 삶 _ 신정임
서툰 연애, 서툰 인터뷰 | 진솔한 이야기에 힘이 있다 | 삶은 기록, 기록은 삶 | 일상의 확장, 여행지에서의 설렘 | 삶의 ‘떨림’을 더 듣고 싶다
영화에서 배우는 감각적 글쓰기의 자세 _ 윤찬영
〈파이란〉, 자신의 글을 사랑하라 |〈어 퓨 굿 맨〉, 누구나 기사를 쓸 수 있다 | 〈흐르는 강물처럼〉, 늘 시간이 필요하다 | <광해>, 가짜에서 진짜를 읽어내기 | 〈대부〉, 남들이 못하는 생각들 | 〈빌리 엘리어트〉, 글쓰기가 주는 환희
대중문화가 위로해주는 고단한 우리의 삶 _ 양형석
‘기사 쓰기’ 무료 강좌의 유혹 | 스포츠·대중문화를 주목하다 | 악플에 대처하는 법 | 1300개의 값진 추억 | 꿈을 이룰 기회를 잡다